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외환거래 환차익 환차손 뜻 정리 외환거래란 다른 나라의 통화를 환율에 따라 교환하는 것입니다. 환율 변화에 따라 자국 통화로 평가한 자산의 가치가 변동되면서 환차손익이 발생합니다. 외환 자산의 환율이 상승해 발생하는 이익을 환차익이라 합니다. 외환 자산의 환율이 하락해 발생하는 손실을 환차손이라 합니다. 환차익 계산은 매수 시점과 매도 시점의 환율 차이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매도 가격에서 매수 가격을 빼고, 매수한 외화의 수량을 곱하는 방법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가령, A가 1,000달러를 1,500원에 매수했다가 환율 변화로 1,600원에 매도했다고 가정해봅니다. 환차익은 (1,400-1,300)*1,000달러로 100,000원입니다. 환 변동 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거래로 헤징(hedging)이 있습니다. 외환 거래 시 발.. 더보기
원금 균등과 원리금 균등 상환 차이 장단점 비교 원금 균등 상환이란? 대출하는 동안 대출 원금을 균등하게 나눠 갚고 매달 남아있는 대출 원금 잔액에 해당하는 이자만 추가로 내는 방식입니다. 대출 초기에는 대출 원금이 가장 큰 형태이므로 그에 따른 이자가 높아 상환 시 부담이 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매달 내야하는 액수가 일정하지 않아 고정 비용으로 관리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15년 이상 장기간 대출한 경우라면 원금 균등 상환보다는 원리금 균등 상환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원리금 균등 상환이란? 대출 원금과 이자를 더한 금액을 대출 기간으로 나누어 매달 같은 상환액을 내는 방식입니다. 참고로 원리금이란 원금과 이자를 합친 금액을 의미합니다. 대출을 받은 초반이나 만기일이 가까워진 후반에 갚아야 하는 상환액이 같아 기간에 따른 부담이 적습니다.. 더보기
토지거래허가구역 토허제 의미, 서울 집값 미래는? 서울시가 지난달 불합리한 규제를 철폐하겠다고 약 5년간 묶여 있던 잠실, 삼성, 대치, 청담동을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해제했습니다. 여기서, 토지거래허가구역이란 뭘까요?  투기 방지를 위해 부동산을 거래할 때 지자체장의 허가를 받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국토교통부 장관이나 시도지사가 지정할 수 있습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내 주택은 2년간 실거주 목적의 매매만 허용합니다.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이른바 갭투자는 불가능합니다.  참고로, 투기과열지구, 조정대상지역이란?  집값 급등이나 청약 경쟁률 같은 지표를 바탕으로 과열 우려가 있다고 판단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국토교통부 장관이 정하는 규제 지역입니다. 무주택자 LTV 50%(유주택자 30%) 등 대출이 제한됩니다. 청약 재당첨 제한(7~10년)이나 분양권 전.. 더보기
중국 팹4 미국 M7 뜻, 치열한 빅테크 주도권 경쟁 알리바바·샤오미·텐센트·바이두 등 신흥 팹4 기업들의 주가가 치솟는 반면, 미국 M7 기업들은 큰 하락 폭을 보이고 있습니다.  팹4는 ‘Fabulous(굉장한) 4’의 줄임말로 알리바바·샤오미·텐센트·바이두 등 4곳의 중국 기술 혁신과 디지털 경제를 이끄는 핵심 기업들입니다. 4명으로 구성된 영국 밴드 비틀스를 가리키는 말에서 유래했습니다. 알리바바는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이자 클라우드 컴퓨팅 선두주자입니다.샤오미는 스마트폰, IoT, AIoT(스마트 홈) 분야에서 강력한 글로벌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텐센트는 SNS·게임·클라우드 등 디지털 경제 전반을 장악한 중국 IT 공룡입니다.바이두는 중국의 구글, AI 및 자율주행 기술 개발 선도 기업입니다.   M7은 ‘Magnificent(훌륭한) .. 더보기
베개를 베다 배다 맞는 말은? 헷갈리는 우리말 베다와 배다, 일상 속에서 헷갈리는 우리말입니다. 베다는 날이 있는 연장으로 무엇을 자르거나 끊는다는 뜻입니다. 날카로운 물건으로 상처를 내거나, 음식을 자르는 것도 베다의 의미입니다. 가위나 칼 같이 날카로운 도구와 관련된 표현을 쓸 때는 베다가 맞습니다. 단순히 자르는 표현 외에 어떤 관계나 인연, 연결을 끊을 때 비유적인 표현으로도 쓰입니다. 나무를 베다칼에 베이다살을 베다잡초를 베다악연을 베다너와의 연결고리를 베다배다는 냄새, 습기, 빛깔, 감정, 버릇 등 어떠한 것이 익숙해지거나 스며드는 것을 뜻합니다. 가령, 습관이 배다와 냄새가 배다, 느낌이 배다입니다. 알이나 새끼와 관련된 표현도 배다에 해당됩니다. 간이 배다향기가 배다몸에 배다그의 노래에는 슬픔이 배어 있다음악에 그의 감성이 배어 있다그.. 더보기
미국의 한국 민감국가 지정 이유와 향후 전망 우리나라가 미국의 민감국가 목록에 포함됐다는 것이 뒤늦게 밝혀졌습니다. 현지 시각으로 지난 14일 미국 정부가 한국을 민감국가 및 기타 지정 국가 목록에 추가한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올해 1월 초, 조 바이든 행정부가 한국을 가장 낮은 단계인 기타 지정 국가에 추가했다고 공식 인정했습니다. 민감국가는 국가 안보, 핵 비확산, 경제 안보 위협, 테러 지원, 지역 불안정 등을 이유로 특별히 살펴야 하는 국가를 의미합니다. 민감국가로 지정된 우리나라는 미국과 원자력, 인공지능(AI) 등 첨단기술 분야 협력이 제한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미국 에너지부나 산하 연구소와 협력할 때 사전 허가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연구 협력과 정보 교류 등 소통에 지장이 생길 수 있습니다. 민감국가 지정된 이유로 온갖 추측이 제.. 더보기
맥도날드, 10개월 만에 가격 또 올리는 이유 한국맥도날드가 오는 20일부터 20개 메뉴 가격을 100원에서 300원까지 인상합니다. 전체 인상률은 2.3%입니다. 지난해 5월 16개 메뉴 가격을 100~400원 올린 지 1년도 채 지나지 않았습니다. 가격 인상 이유는 환율과 원자재 비용 상승이랍니다. 버거 단품은 불고기 버거와 치즈 버거만 각각 200원씩 오릅니다. 버거 세트는 7종이 200~300원 인상됩니다. 대표 메뉴로 꼽히는 빅맥 세트는 7,200원에서 200원 오른 7,400원이 됩니다. 음료·커피 메뉴에서는 드립 커피만 200원 인상합니다. 다만, 빅맥 맥런치 가격은 6,300원으로 유지한답니다. 한편, 맥도날드는 고객 편의를 위해 메뉴를 직접 갖다주는 '테이블 서비스'의 운영시간을 확대할 거랍니다. 혼란스러운 탄핵 정국 속에서.. 더보기
5주 연속 하락한 기름값, 9주 만에 휘발유 1600원대 그 이유는? 국내 주유소 휘발유와 경유의 주간 평균 가격이 5주 연속 동반 하락했습니다.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3월 둘째 주(9∼13일) 전국 주유소 휘발유 평균 판매가는 직전 주 대비 ℓ당 15.9원 내린 1699.9원이었습니다. 올해 1700원이 깨진 것은 1월 둘째 주 이후 9주 만입니다. 가격이 가장 높은 지역은 제주도로 직전 주보다 10.1원 하락한 1758.9원이었으며, 가격이 가장 낮은 대구는 전주 대비 18.9원 하락한 1664.5원으로 각각 집계됐습니다. 경유 평균 판매 가격은 전주 대비 16.6원 낮은 1565.3원을 기록했습니다. 국제유가는 미국 관세 정책에 따른 세계 경기 둔화 우려 지속과 국제에너지기구(IEA)의 석유 수요 전망 하향, 러시아-우크라이나전 휴전 논의 .. 더보기